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은 1949년 창단된 러시아의 아이스하키 클럽으로, 여러 차례 팀명 변경을 거쳐 2000년부터 현재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소련 시절 2부 리그에서 주로 활동하다가 1997년, 2002년, 2003년 러시아 슈퍼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2008년 콘티넨탈 하키 리그(KHL) 출범 이후 KHL에 참가하고 있다. 2011년 선수단을 태운 비행기 추락 사고로 인해 한 시즌 동안 KHL에 참가하지 못했지만, 이후 복귀하여 꾸준히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팀은 러시아 철도를 메인 스폰서로 하여 기관차를 뜻하는 "로코모티프"라는 이름을 사용하며, KHL에서 가가린 컵 준우승 2회, 3위 3회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 -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 여객기 추락 사고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 여객기 추락 사고는 2011년 9월 7일 야로슬라블 아이스하키팀 선수단을 포함한 45명이 탑승한 여객기가 야로슬라블에서 이륙 직후 추락하여 전원 사망한 사고로, 조종사 과실, 항공기 결함, 안전 규정 위반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했으며 러시아 스포츠계와 국제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 1959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는 1883년 브루클린에서 창단되어 1958년 로스앤젤레스로 연고지를 옮긴 메이저리그 내셔널리그 서부 지구 소속 팀으로, 재키 로빈슨 영입, 샌디 쿠팩스, 클레이튼 커쇼 등 스타 선수 배출, 7회의 월드 시리즈 우승 등으로 메이저리그 최고의 프랜차이즈 중 하나이며 강력한 팬덤과 팀 문화를 가진 팀이다.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 | |
---|---|
기본 정보 | |
팀 |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 |
이전 명칭 |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 (2000–현재) 토르페도 야로슬라블 (1965–2000) 모토르 야로슬라블 (1964–1965) 트루드 야로슬라블 (1963–1964) YaMZ 야로슬라블 (1959–1963) |
별칭 | 로코, 제레즈노도로즈니키 (철도원) |
창단 | 1959년 |
해체 | 해당 없음 |
연고지 | 야로슬라블, 러시아 |
홈 경기장 | 아레나 2000 |
수용 인원 | 8,905명 |
![]() | |
![]()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현재 시즌 | 2024–25 시즌 |
구단주 | 러시아 철도 |
리그 정보 | |
리그 | KHL (2008–2011, 2012–현재) |
디비전 | 타라소프 |
컨퍼런스 | 서부 |
구성원 | |
단장 | 해당 정보 없음 |
감독 | 이고르 니키틴 |
주장 | 알렉산드르 옐레신 |
사장 | 유리 야코블레프 |
제휴 구단 | |
제휴 구단 | 몰로트-프리카미예 페름 (VHL) |
색상 | |
색상 | 빨강 파랑 하양 |
구글 지도 |
2. 역사
팀은 여러 차례 이름을 바꾸었다. 1959년부터 1963년까지는 YaMZ 야로슬라블, 1963년부터 1964년까지는 트루드 야로슬라블, 1964년부터 1965년까지는 모토르 야로슬라블, 1965년부터 2000년까지는 토르페도 야로슬라블, 2000년부터 현재까지는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로 불리고 있다.[1]
소련 시대에는 주로 2부 리그에서 활동했으며, 1983-84 시즌에 1부 리그로 승격했다. 세르게이 알렉세예비치 니콜라예프 감독 아래에서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으나,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슈퍼리그(RSL)가 창설되면서 꾸준히 성장하는 팀이 되었다. 1997년 페트르 보로비예프 감독 아래에서 첫 번째 RSL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1]
2001-02 시즌 초반 아레나 2000으로 홈구장을 옮겼으며, 체코 출신 블라디미르 부이텍 시니어 감독 아래에서 2002년과 2003년에 연속 리그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1] 부이텍 감독은 2002-03 시즌 이후 악 바르스 카잔의 계약 제안을 받고 팀을 떠났다.[1] 이후 로코모티프는 러시아 슈퍼리그(RSL)와 콘티넨탈 하키 리그(KHL)에서 꾸준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1]
2. 1. 창단 및 초기 역사 (1949-1965)
야로슬라블에 최초의 아이스하키 클럽은 1949년에 창단되었다.[1] 초기에는 지역 클럽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팀명을 변경했다.[1]기간 | 팀명 |
---|---|
1949-1955 |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 |
1955-1956 | 스파르타크 야로슬라블 |
1956-1957 | 힘키 야로슬라블 |
1959-1963 | HC YMA 야로슬라블 |
1963-1964 | 트루드 야로슬라블 |
1964-1965 | 모토르 야로슬라블 |
1965-2000 | 토르페도 야로슬라블 |
2000-현재 |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 |
2. 2. 토르페도 야로슬라블 시대 (1965-2000)
팀은 1965년부터 2000년까지 토르페도 야로슬라블이라는 팀명을 사용했다.[1] 소련 시대에는 주로 2부 리그에서 활동했으며, 1983-84 시즌에 1부 리그로 승격했다.[1] 세르게이 알렉세예비치 니콜라예프 감독 체제에서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1]토르페도 야로슬라블의 리그 소속 기록은 다음과 같다.
기간 | 리그 |
---|---|
1967/1987 시즌 | 소련 2부 리그 (클래스 A) |
1987/88~1991/92 시즌 | 소련 메이저 리그 |
1992/93~1995/96 시즌 | 인터내셔널 하키 리그 |
1996/97~1998/99 시즌 | 러시아 하키 리그 |
1999/00~2007/08 시즌 | 러시아 슈퍼리그 |
2. 3.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 시대 (2000-현재)
2000년에 현재의 팀명인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로 변경되었다.[1] 러시아 슈퍼리그(RSL) 창설 이후 꾸준히 성장하여, 1997년 페트르 보로비예프 감독 아래에서 첫 번째 RSL 챔피언십을 우승했다.[1] 2001-02 시즌 초반, 홈구장을 아브토디젤 아레나에서 현재의 아레나 2000으로 이전했다.[1] 체코 출신 블라디미르 부이텍 시니어 감독 지휘 하에 2002년과 2003년에 연속 리그 챔피언십을 우승했다.[1] 2008년 콘티넨탈 하키 리그(KHL) 창설 이후 KHL에 소속되어 현재까지 활동 중이다.[1]3. 2011년 비행기 추락 사고
2011년 9월 7일, 콘티넨탈 하키 리그(KHL) 개막전을 위해 벨라루스 민스크로 향하던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 선수단을 태운 Yak-42기가 야로슬라블주 투노슈나 공항 이륙 직후 추락하는 참사가 발생했다.[3] 이 사고로 선수, 코칭스태프, 승무원을 포함한 탑승객 45명 중 43명이 사망했다.[4]
생존자는 항공 기술자 알렉산드르 시조프와 로코모티프 공격수 알렉산드르 갈리모프였으나,[4] 갈리모프는 5일 후 모스크바의 한 병원에서 사망했다.[5] 사망자 중에는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Stefan Liv|스테판 리브영어(스웨덴) 선수, 파볼 데미트라(슬로바키아) 등 유명 선수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사고 이후, KHL은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이 2011-12 KHL 시즌을 건너뛰고 2012-13 KHL 시즌에 복귀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7]
이 사고는 대한민국을 포함한 전 세계 하키계에 큰 슬픔과 애도를 불러일으켰다.
3. 1. 사고 이후 (2012-현재)
톰 로는 내셔널 하키 리그(NHL)의 캐롤라이나 허리케인스에서 어시스턴트 코치를 맡았으며, 2012년 4월 9일에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의 새로운 수석 코치로 계약했다.[1]2012-13 KHL 시즌 로코모티프는 빅토르 코즐로프, 니클라스 하그만, 스타판 크론월, 커티스 샌포드, 사미 레피스토, 비탈리 비슈네프스키 등 전 NHL 선수들을 영입했다. 비슈네프스키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로코모티프에서 뛴 경험이 있다. 수비수 드미트리 쿨리코프는 NHL 노사분규 기간 동안 로코모티프와 계약했다.[2]
4. 팀 특징
팀명 '로코모티프'는 러시아어로 기관차를 나타내며, 주요 후원사인 '''러시아 철도'''에서 유래했다.[14] 로고는 머리글자 "Л"에 증기 기관차와 아이스하키 퍽을 형상화한 디자인이다.[14] 팬들은 선수들을 '로코' 또는 철도원을 의미하는 '젤레즈노도로지니키'라는 애칭으로 부른다.[14] 팀 마스코트는 곰인데, 이는 야로슬라블 도시의 상징이 곰이기 때문이다.[14]
5. 시즌별 기록 (KHL)
시즌 | GP | W | L | OTL | Pts | GF | GA | 순위 | 최고 득점자 | 플레이오프 |
---|---|---|---|---|---|---|---|---|---|---|
2008-09 | 56 | 32 | 13 | 3 | 111 | 174 | 111 | 타라소프 1위 | 알렉세이 야신 (47 포인트: 21 골, 26 어시스트; 56 경기) | 가가린 컵 결승에서 패, 3–4 (아크 바르스 카잔) |
2009-10 | 56 | 26 | 17 | 4 | 96 | 163 | 132 | 타라소프 3위 | 요세프 바시첵 (48 포인트: 21 골, 27 어시스트; 56 경기) | 컨퍼런스 결승에서 패, 3–4 (HC MVD) |
2010-11 | 54 | 33 | 14 | 1 | 108 | 202 | 143 | 타라소프 1위 | 파볼 데미트라 (60 포인트: 18 골, 42 어시스트; 54 경기) | 컨퍼런스 결승에서 패, 2–4 (아틀란트 모스크바 오블라스트) |
2011-12 | 2011-12 시즌은 2011년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 항공기 추락 사고로 불참, VHL에서 시즌 진행 | |||||||||
2012-13 | 52 | 24 | 18 | 0 | 92 | 131 | 121 | 타라소프 2위 | 세르게이 플로트니코프 (33 포인트: 15 골, 18 어시스트; 55 경기) | 컨퍼런스 쿼터 파이널에서 패, 2–4 (세베르스탈 체레포베츠) |
2013-14 | 54 | 28 | 21 | 5 | 84 | 109 | 103 | 타라소프 3위 | 세르게이 플로트니코프 (35 포인트: 15 골, 20 어시스트; 53 경기) | 컨퍼런스 결승에서 패, 1–4 (레프 프라하) |
2014-15 | 60 | 32 | 19 | 9 | 97 | 155 | 143 | 타라소프 3위 | 예고르 아베린 (37 포인트: 16 골, 21 어시스트; 59 경기) | 컨퍼런스 쿼터 파이널에서 패, 2–4 (디나모 모스크바) |
2015-16 | 60 | 43 | 15 | 2 | 125 | 155 | 94 | 타라소프 2위 | 다닐 아팔코프 (43 포인트: 16 골, 27 어시스트; 59 경기) | 컨퍼런스 쿼터 파이널에서 패, 1–4 (SKA 상트페테르부르크) |
2016-17 | 60 | 36 | 18 | 6 | 110 | 163 | 130 | 타라소프 3위 | 브랜든 코준 (56 포인트: 23 골, 33 어시스트; 59 경기) | 컨퍼런스 결승에서 패, 0–4 (SKA 상트페테르부르크) |
2017-18 | 56 | 35 | 18 | 3 | 99 | 148 | 129 | 타라소프 2위 | 스타판 크론발 (35 포인트: 10 골, 25 어시스트; 55 경기) | 컨퍼런스 준결승에서 패, 1–4 (SKA 상트페테르부르크) |
2018-19 | 62 | 40 | 16 | 6 | 86 | 159 | 118 | 타라소프 2위 | 브랜든 코준 (41 포인트: 19 골, 22 어시스트; 52 경기) | 컨퍼런스 준결승에서 패, 1–4 (SKA 상트페테르부르크) |
2019-20 | 62 | 34 | 23 | 5 | 73 | 170 | 151 | 타라소프 2위 | 데니스 알렉세예프 (37 포인트: 6 골, 31 어시스트; 57 경기) | 컨퍼런스 쿼터 파이널에서 패, 2–4 (요케리트) |
2020-21 | 60 | 38 | 15 | 7 | 83 | 181 | 126 | 타라소프 3위 | 파벨 크라스코프스키 (38 포인트: 17 골, 21 어시스트; 56 경기) | 컨퍼런스 준결승에서 패, 3–4 (CSKA 모스크바) |
2021-22 | 47 | 23 | 15 | 9 | 55 | 113 | 103 | 타라소프 4위 | 리드 부처 (27 포인트: 12 골, 15 어시스트; 46 경기) | 컨퍼런스 쿼터 파이널에서 패, 0–4 (CSKA 모스크바) |
2022-23 | 68 | 41 | 17 | 10 | 92 | 164 | 122 | 타라소프 2위 | 막심 샬루노프 (42 포인트: 29 골, 13 어시스트; 62 경기) | 컨퍼런스 준결승에서 패, 3–4 (CSKA 모스크바) |
2023-24 | 68 | 44 | 19 | 5 | 93 | 174 | 139 | 타라소프 2위 | 막심 샬루노프 (36 포인트: 17 골, 19 어시스트; 68 경기) | 가가린 컵 결승에서 패, 0–4 (메탈루르크 마그니토고르스크) |
'''참고:'''
- GP = 경기 수, W = 승, L = 패, OTL = 연장/승부 슛 패, Pts = 승점, GF = 득점, GA = 실점
6. 수상
우승 | 횟수 | 시즌 |
---|---|---|
러시아 슈퍼리그 | 3 | 1996-97, 2001-02, 2002-03 |
개막컵 | 1 | 2024-25 |
민스크 컵 | 1 | 2017 |
롱기 카후 컵 | 3 | 2010, 2011, 2017 |
주니어 토너먼트 대통령 컵 (트르지네츠) | 1 | 2016/2017 |
6. 1. 팀
우승 | 횟수 | 시즌 |
---|---|---|
러시아 슈퍼리그 | 3 | 1996-97, 2001-02, 2002-03 |
개막컵 | 1 | 2024-25 |
민스크 컵 | 1 | 2017 |
롱기 카후 컵 | 3 | 2010, 2011, 2017 |
주니어 토너먼트 대통령 컵 (트르지네츠) | 1 | 2016/2017 |
7. 기타
로코모티프는 아이스하키 외에도 축구(모스크바), 농구(크라스노다르), 배구(노보시비르스크) 클럽을 운영하고 있다.[15][16][17]
참조
[1]
웹사이트
Canadian coach McCrimmon among 43 dead in Russian plane crash
http://tsn.ca/nhl/st[...]
tsn.ca
2011-09-07
[2]
웹사이트
How KHL's Lokomotiv was reborn, one year after plane crash tragedy
https://ca.sports.ya[...]
2012-09-07
[3]
뉴스
Crash Wipes Out Elite Russian Hockey Team, Killing Several Veterans of the N.H.L."
https://www.nytimes.[...]
2011-09-07
[4]
뉴스
Lokomotiv Yaroslavl Crash Update
https://www.themosco[...]
2011-09-14
[5]
웹사이트
http://www.lifenews.[...]
2011-09-07
[6]
웹사이트
KHL delays games, but season will go on for Lokomotiv
http://sports.nation[...]
2011-09-08
[7]
웹사이트
Lokomotiv will not play this season
http://msn.foxsports[...]
2011-09-10
[8]
웹사이트
http://www.sovsport.[...]
2011-09-12
[9]
웹사이트
KHL's new Lokomotiv won't play this season
http://nhl-red-light[...]
Red Light
2011-09-12
[10]
웹사이트
Plane Crash Wipes Out Elite Russian Hockey Team
http://www.totalnews[...]
TotalNews
2011-09-07
[11]
웹사이트
Lokomotiv Yaroslavl current roster
https://hclokomotiv.[...]
Lokomotiv Yaroslavl
2024-08-06
[12]
웹사이트
Lokomotiv Yaroslavl team roster
http://en.khl.ru/clu[...]
2024-08-06
[13]
문서
http://www.arena.yar[...]
[14]
문서
http://hclokomotiv.r[...]
[15]
문서
http://www.fclm.ru/e[...]
[16]
문서
http://en.lokobasket[...]
[17]
문서
http://lokovolley.co[...]
[18]
문서
http://hclokomotiv.r[...]
[19]
웹사이트
.Crash Wipes Out Elite Russian Hockey Team, Killing Several Veterans of the N.H.L.
http://www.nytimes.c[...]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
2011-09-07
[20]
웹사이트
sole-hockey-player-to-survive-russian-plane-crash-dies
http://www.thestar.c[...]
AP通信
2011-09-12
[21]
웹사이트
Full list of people on board of crashed Yak-42
http://rt.com/news/y[...]
ロシア・トゥデイ
2011-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